728x90
1. git init
: git remote 이전에 항상 제일 먼저 실행해주어야합니다
2. git remote
- git remote add origin "remote하고자하는 깃허브 링크.git" : 로컷저장소와 원격저장소(git hub) 연결
- git remote rm origin : 이전 remote origin 삭제
- git remote -v : 현재 연동되어 있는 원격저장소 확인
- git remote update : 모든 branch의 원격저장소 정보를 갱신 (※ git fetch : 현재 checkout 되어있는 원격저장소만 갱신)
3. git status
: 현재 git 상태 확인
4. git add
- git add . : 현재 디렉토리의 모든 변경 내용을 스테이징 영역으로 넘기고 싶을 때 사용
- git add -A : 작업 디렉토리 내의 모든 변경 내용을 몽땅 스테이징 영역으로 넘기고 싶을 때 사용
- git add [파일/디렉토리 경로] : 작업 디렉토리의 변경 내용의 일부만 스테이징 영역에 넘기고 싶을 때 사용
- git add -p : 많은 변경 내용을 여러 개의 변경 기록으로 나누어서 남기고 싶을 때 사용 (각 변경 사항을 터미널에서 직접 눈으로 하나씩 확인 가능)
5. git commit -m "github에 메모되는 사항..., 보통은 오늘 날짜를 많이 넣음"
: 커밋
6. git push origin master
: git push [원격저장소이름][branch이름] / commit한 파일을 원격 저장소에 올리는 명령어
7. git pull origin master
: git pull [원격저장소이름][branch이름] / 원격 저장소의 데이터를 가져오고, 자동으로 현재 작업하는 로컬 브랜치와 merge
<< fetch + merge >>
728x90
'형상관리 >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commit message (깃허브 커밋 메세지) (0) | 2023.08.18 |
---|---|
gitignore이 적용되지 않을 때... (0) | 2023.07.04 |
.gitignore 사용하는 방법 (2) | 2023.06.14 |
Git 계정 설정 + 삭제 (git config) (0) | 2023.05.25 |
[1] 깃 허브 계정연동부터 커밋까지 [ git remote, git push, git pull ] (0) | 2022.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