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가 되기 위한 준비과정/코딩테스트 준비

[코딩테스트 준비 #1] Javascript(ES6) 변수 선언 (const / let)

제이스톨 2023. 10. 16. 17:05
728x90

과거에는 var을 사용해서 변수 선언을 해주었는데 버전 올라감에 따라 var는 사용하지 않고 const, let을 이용해서 변수를 선언해주게 되었다.

 

1. const

: const는 constant(상수)를 뜻한다. 즉, '항상 같은 수'를 의미하는 것이다. const 키워드로 사용하면 변치않은 값을 갖는 변수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const 변수는 반드시 값이 할당되어야한다. 만약 값이 없다면, syntax Error가 나올 것이다.

const blog = "jstol";
console.log ("blog =", blog); // blog = jstol 

blog = astol; // TypeError: Assignment to constant variable.

 

2. let

: const와 다르게 다른 값이 재할당될 수 있다. 

let d = 'bibimbap';
console.log(d); // d = bibimbap

d = bulgogi;
console.log(d); // d = bulgogi로 출력 값이 달라지게 된다.

 

3. 노모어 호이스팅

보통 자바스크립트를 작성할 때 변수를 가장 맨 위에 작성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그런데 변수를 나중에 작성하면 어떻게 될까?

console.log(name);
console.log(product);
console.log(price);
var name = "jstol"; // undifined
const product = "table"; // Error
let price = 500; // Error

var같은 경우에는 undifined로 값이 출력되지만,

const와 let의 경우에는 ReferenceError가 나오게된다.

 

var의 결과가 다른 이유가 호이스팅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이는 변수의 정의가 그 범위에 따라 선언과 할당으로 분리되는 것을 뜻한다. var로 변수를 뒤에서 선언했지만 자바스크립트가 이걸 알아서 문서 꼭대기에 갖다 놓은 셈이다.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81951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728x90